소개글
-차례-
1. 간호 사정
① 대상자의 전반적인 건강상태
(ㄱ) 교환
(ㄴ) 의사소통
(ㄷ) 관계
(ㄹ) 가치
(ㅁ) 선택
(ㅂ) 기동
(ㅅ) 인지/ 지각
(ㅇ) 지식
(ㅈ) 감정
② 현질병과 관련된 자료수집
(ㄱ) 현병력
(ㄴ) 과거력
(ㄷ) 가족력
(ㄹ) 현재 건강상태
③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결과 해석
(ㄱ) Lab data(CBC)
(ㄴ) US & FNA
(ㄷ) Echo(EF:40%)
(ㄹ) TTE(EF:62.5%)
④ 대상자의 약물치료 현황
⑤ 대상자의 기타 치료
2. 문헌고찰
3. 간호진단 도출(NANDA 간호진단)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③ 갑상선종
- 갑상선이 비정상적으로 커진 상태를 갑상선종이라고 한다. 갑상선 전체가 부은 형태인 경우를 미만성(彌滿性) 갑상선종이라고 하고, 갑상선의 표면이 울퉁불퉁해 지는 경우를 결절성(結節性) 갑상선종, 갑상선에 낭포(囊胞)가 형성되는 낭포성 갑상선종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갑상선종은 주로 아이오딘의 결핍으로 발생한다. 아이오딘은 갑상선호르몬을 만드는데 필요한 물질로, 아이오딘이 부족하면 갑상선에서 적절한 양의 호르몬을 만들지 못하게 된다. 몸속의 갑상선호르몬 수치가 낮아지면 이 정보가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 전달돼 갑상선자극호르몬의 분비가 촉진되고 이는 다시 갑상선을 과도하게 자극해 갑상선이 부어 오르게 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 밖에도 갑상선에 생긴 종양이나 염증, 자가면역질환 등에 의해서도 갑상선종이 유발되는 경우가 있으며, 일부 바이러스도 발병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갑상선종은 남성 보다 여성에게서 더 많이 발견되며, 사춘기나 임신기의 특징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갑상선종이 있지만 갑상선 기능이 거의 정상에 가깝다면 단순성 갑상선종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갑상선종이 있을 때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나 갑상선기능항진증 같은 갑상선 기능 이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또 눈이나 면역체계 등에도 이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갑상선종이 심한 경우에는 물리적인 압박으로 인해 목 부위 혈관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거나 호흡 곤란이 오기도 한다.
갑상선호르몬을 투여해 갑상선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며, 항갑상선제나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해 치료할 수도 있다. 아이오딘 결핍이 갑상선종의 원인이라면 방사성 아이오딘을 이용하거나 아이오딘을 섭취해 치료한다. 이밖에 갑상선의 일부를 떼어내거나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도 있다.
구매후기
(0 건의 후기가 등록되었습니다.)









29